200자평
한국 사회에서 시민 미디어에 대한 필요성과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디어에 대한 시민참여 현황을 종합하고 국내에 정착 가능한 시민참여, 시민 미디어의 방안을 모색한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며 시민 미디어의 정의와 해외 시민참여 미디어의 현황, 그리고 한국의 시민사회와 언론구조에 대한 내용을 살핀다. 국내 시민참여 미디어의 현황과 문제점도 다루었다.
지은이
김은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 석사와 동 대학원 신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중앙대, 순천향대, 강원대, 상명대, 신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차례
제1장. 시민미디어의 이해
1. 시민미디어의 개념
2. 시민미디어의 필요성
3. 시민미디어의 이론적 지평
4. 시민미디어를 위한 논의 지형
제2장. 시민참여 미디어의 유형:해외 사례
1. 시민참여의 유형과 범주 58
2. 시민참여 미디어의 수준별 유형
3. 시민저널리즘과 시민참여
4. 해외 사례의 특징
제3장. 시민미디어와 시민사회
1.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2. 한국 시민사회의 특수성과 시민운동
3. 한국 언론구조의 변화와 시민액세스의 확장
4. 시민참여 미디어의 토대와 가능성
제4장. 한국의 시민참여 미디어
1. 액세스 프로그램
2. 위성방송의 시민채널(액세스채널)
3. 온라인 저널리즘과 시민참여 웹미디어
4. 지역신문과 지역공동체 공공영역
제5장. 한국 시민참여 미디어의 발전 과제
1. 법.제도적 구조
2. 운영구조의 개선
3. 시민참여 토대의 구축
4. 시민참여 미디어의 활성화를 위하여
책속으로
이 책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시민미디어에 대한 필요성과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디어에 대한 시민참여 현황을 종합해 보고, 국내에 정착 가능한 시민참여, 시민미디어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는 시민 미디어가 무엇인가에 대한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시민미디어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의 필요성은 무엇인가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 키인과 커런을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미디어 제도론, 수용자주권론을 통해 시민미디어의 이론적 논거를 탐색해 보고 있다.
둘째로는 해외에서 보여지고 있는 시민참여 미디어의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해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일차적으로 미디어에 대한 시민참여 형태를 유형화를 시도하고 있다. 아울러 각 유형들에서 보여지는 법?제도적 문제, 소유 및 운영의 문제, 시민액세스의 정도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선진 사례의 검토는 국내의 사례분석과 함께 향후 바람직한 국내 시민미디어의 정착방안을 논의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로는 한국의 시민사회와 언론구조에 대한 내용이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시민참여 미디어가 성장해 온 사회적 배경을 설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시민사회의 특수성을 고찰하고, 이후 시민사회, 국가, 자본의 관계 속에서 언론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그리고 시민언론운동, 언론노조운동 등을 통해 발현되었던 시민적 액세스의 확장 문제를 살펴본다.
넷째로는 국내 시민참여 미디어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부분으로 4장과 5장에 걸쳐 검토되고 있다. 방송영역에서 보여지고 있는 시민참여가 지상파, 케이블방송, 위성방송의 영역에서 어떻게 현실화되어 있는지 각 영역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시민참여 미디어로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웹미디어와 지역신문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_ “머리말” 중에서